국민연금 보험료, 2025년 7월부터 얼마나 오를까? 기준소득월액·상한액·하한액 완벽 정리

오늘의 뉴스

국민연금 보험료, 2025년 7월부터 얼마나 오를까? 기준소득월액·상한액·하한액 완벽 정리

사랑쓰러운3 2025. 6. 29. 08:25
반응형

 

 

🔗 국민연금공단 공식 안내 바로가기

2025년 7월부터 국민연금 보험료 인상! 얼마나 더 내야 할까?

#국민연금 #보험료인상 #기준소득월액 #상한액 #하한액 #직장가입자 #지역가입자 #연금액증가

2025년 7월, 국민연금 보험료 인상이 확정됐다는 소식 들으셨나요? 이번에는 기준소득월액 상한액·하한액이 모두 조정되면서, 일부 가입자의 월 보험료가 인상됩니다.
직장가입자, 지역가입자 모두 해당되는 내용이고, 실제로 얼마나 오르고, 누가 영향받는지, 그리고 연금액 증가보험료율, 국민연금 계산기 등 꿀팁까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.

기준소득월액, 왜 매년 바뀌나요?
  • 국민연금 보험료는 기준소득월액이라는 소득 구간을 기준으로 부과됩니다.
  • 아무리 소득이 높아도 상한액까지만, 아무리 낮아도 하한액 이상은 내야 하죠.
  • 이 기준은 최근 3년간 평균 소득상승률을 반영해 매년 7월 자동 조정됩니다.
  • 2025년에는 3.3% 변동률이 반영!
2025년 7월부터 바뀌는 상한액·하한액
  • 상한액: 617만원 → 637만원 (+20만원)
  • 하한액: 39만원 → 40만원 (+1만원)
  • 보험료율: 9%로 변동 없음
기준소득월액 상·하한액이 오르면 보험료도 소폭 오르지만, 노후에 받는 연금액도 증가한다는 사실!
실제로 얼마나 더 내나요?
  • 상한액(637만원) 초과 소득자:
    • 기존 월 보험료 55만5300원(617만원×9%) → 57만3300원(637만원×9%)
    • 월 1만8000원 인상, 직장가입자는 본인 9000원+회사 9000원 부담
    • 지역가입자는 인상분 전액 본인이 부담
  • 월 소득 617만~637만원 사이:
    • 이전에는 617만원 기준, 이제 본인 소득만큼(최대 637만원) 9% 보험료 부과
    • 예시: 월 630만원 소득 → 630만원×9% = 56만7000원 (기존보다 증가)
  • 하한액(40만원) 미만 소득자:
    • 기존 3만5100원(39만원×9%) → 3만6000원(40만원×9%)
    • 최대 900원 인상, 전액 본인 부담
  • 대부분(40만원~617만원 소득): 보험료 변동 없음
🔗 국민연금 보험료 계산기 바로가기
직장가입자와 지역가입자, 부담이 어떻게 다를까?
  • 직장가입자는 회사와 50:50 부담(인상분의 절반만 본인이 부담)
  • 지역가입자는 보험료 인상분 전액 본인이 부담
  • 소득·직업별 부담 차이를 꼭 체크하세요!
보험료 오르면 연금액도 오를까?
  • 네! 보험료를 더 내면 나중에 받는 노령연금도 올라갑니다.
  • 실제 소득을 반영한 연금제도로, 장기적으로 내 실수령액이 증가!
  • 과거 상한액이 장기간 고정된 시기엔 연금 실수령액이 불리했던 사례도 있습니다.
이번 보험료 인상, 꼭 체크해야 할 분
  • 월 소득 617만원 초과 고소득 직장인·프리랜서·자영업자
  • 월 소득 40만원 미만 저소득자
  • 보험료 고지서, 국민연금공단 안내문이 오면 꼭 확인!
국민연금공단은 변동이 있는 가입자에게 6월 말 우편 또는 문자로 별도 안내를 제공합니다.
🔗 국민연금 FAQ & 공지 바로가기
꼭 알아두세요!
  • 이번 보험료 인상은 특정 소득계층을 겨냥한 ‘핀셋 증세’가 아니라, 전체 소득변화를 반영한 연례적 조정입니다.
  • 보험료 오르면 당장은 부담스럽지만, 내는 만큼 연금액 증가로 돌아온다는 점 기억!
  • 직장·지역가입자 모두 이번 보험료율, 기준소득월액, 상한액·하한액 변동을 꼼꼼히 확인하세요.
#국민연금 #보험료인상 #기준소득월액 #상한액 #하한액 #직장가입자 #지역가입자 #연금액증가 #보험료율 #국민연금계산기 #2025년국민연금
반응형